블로그 이미지
난넘

calendar
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
Notice

Tag

2015. 11. 2. 13:09 Network
1. 개요

   인터넷백본망 등에서의 대량의 트래픽 처리를 고속으로 처리 및 관리를 하기 위한
   방안으로써 ATM 스위치 등을 이용한 여러가지 방안이 IETFATM 포럼 등 표준화 기
   구에서 논의되었는데, 이중에서 IETF에서 추진한 방안이 바로 MPLS 방식이다.


2. 기존 라우팅과의 차이

  ㅇ 기존의 라우팅이 3계층에서 Hop-by-Hop 체계를 기반으로하여, 매 라우터 마다 패킷
     의 헤더를 조사하여 다음 라우터로의 경로를 설정하는데에 비해, 
  ㅇ MPLS는 MPLS망에 진입하는 시점에서 단 한번 만 헤더를 조사하고  우편번호와 같이
     짧은 라벨(Label)을 이용하여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.


3. MPLS의 기초가 된 상용기술   ☞ 레이블 스위칭 (Label Switching) 기술

  ㅇ 일본 도시바사의 CSR(Cell Switch Router, 1994년),  IPSILON사의 IP Switching 방
     식 (1995년, 트래픽 기반 방식),  CISCO사의 Tag Switching 방식 (1997년,토폴로지
     기반 방식),  IBM사의 ARIS (1997년) 등
  ㅇ IETF 에서 위 방식들을 종합하여 MPLS 라는 용어로 부르고 표준화 작업을 함


4. MPLS 특징

  ㅇ 트래픽 엔지니어링 (MPLS-TE) 등에 의한 QoS 보장
     - 망 트래픽에 대한 명시적 분류기능(Explicit Classification) 과 분류된 트래픽
       에 대한  명시적 라우팅을 통하여 트래픽 엔지니어링 및 QoS를 지원할 수 있다. 
  ㅇ 정책(Policy)에 따른 라우팅 선택이 가능
     - Policy-based Routing
  ㅇ 우편번호와 같이 짧은 라벨(Label)을 이용한 경로 설정
     - 고정크기의 \"라벨 스와핑\" 기능에 의한 고속 패킷 스위칭, 전송
  ㅇ 라우팅 및 포워딩의 분리
     - 2, 3계층을 가각 독립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다양한 2 또는 3 계층 프로토콜 지원
     - 3계층에서는 IP, CLNP 등 / 2계층에서는 Ethernet, ATM, Frame Relay 등
  ㅇ 가상사설망(IP-VPN) 구축 가능  ☞  MPLS VPN


5. MPLS 구조 및 구성

  ㅇ 계층 구조
     - MPLS는 대략 2.5 계층에 속한다 함 
        . 3 계층 / 2.5 계층 (Shim 계층) / 2 계층
     - 망계층(계층 3)의 헤더와  데이타링크 계층(계층 2)의 헤더 간에  \"MPLS 헤더\"
       (이를 MPLS Label이라 부름)가 있어, 이 라벨에 의한 고속의 하드웨어 스위칭이
       이루어진다.  즉, Layer 2 에서 Forwarding 및 Layer 3 에서 Routing .
     - 한편, 기존의 라우터들은 망계층에서 라우팅 테이블에 의한 소프트웨어적인 라우
       팅이 이루어진다.
  ㅇ MPLS 망 구성
     - LER (Label Edge Router)   : 비 MPLS 망과의 연동
     - LSR (Label Switch Router) : MPLS 망의 중심에 위치
  ㅇ MPLS 라우터의 2개 구성요소
     - 제어평면 (Control Plane)  : 3계층 라우팅 정보 및 라벨을 교환
     - 데이터평면 (Data Plane)   : 라벨에 의해 패킷 스위칭 


6. MPLS 에서의 핵심 요소

  ㅇ Label Binding      : Label을 특정 데이터 흐름에 대응 
  ㅇ Label Swapping     : 입력 Label을 출력 Label로 변경 
  ㅇ Label Distribution : Label binding을 인접 노드에 전파


7. MPLS 시그널링 프로토콜  :  Label의 할당 및 분배를 위한 프로토콜

  ㅇ LDP(Label Distribution Protocol) 방식
     - LDP : Label을 분배, LSP(Label Switched Path) 설정을 위한 protocol
  ㅇ 트래픽 엔지니어링(Traffic Engineering)도 가능한 방식
     - CR-LDP (Constraint-based Routing LDP)
       . ATM 기술보유업체 선호
     - RSVP-TE (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- Traffic Engineering)
       . 라우터 제작업체 선호


8. MPLS 구현 방식

  ㅇ Frame-mode MPLS : 순전히 라우터에 의해 구현
     - Labeled Packet들이 계층 2에서 프레임 상태로 교환됨
  ㅇ Cell-mode MPLS  : ATM 기반의 MPLS 구현 (MPLS over ATM)
     - Labeled Packet들이 ATM Cell 형태로 전송됨


9. 기타 참고사항

  ㅇ 관련표준  :  IETF의 MPLS Working Group에서 표준화
  ㅇ 관련용어  :  IPoA, 컷 스루 스위칭 방식
출처 www.ktword.co.kr

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OSX에서 vmnet 인터페이스 트래픽 캡쳐하기  (0) 2015.05.21
브라우저는 어떻게 동작하는가?  (0) 2015.05.18
posted by 난넘
2015. 5. 21. 14:10 Network

http://0xmatthew.tistory.com/27

posted by 난넘
2015. 5. 18. 10:26 Network

http://helloworld.naver.com/helloworld/59361

posted by 난넘
prev 1 next